맨위로가기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트비히 에르하르트는 1897년 독일에서 태어나 경제학을 전공하고,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경제학 연구와 직물 회사 근무를 거쳐, 1940년대 경제 자문관으로 활동했다. 그는 독일의 경제 관리국장, 경제 이사 등을 역임하며 통화 개혁과 가격 자유화를 단행하여 '경제 기적'을 이끌었다. 1949년 연방 경제부 장관, 1957년 부총리를 거쳐 1963년 총리에 선출되었으며, 재임 기간 중 주택 수당 도입 등의 개혁을 추진했다. 베트남 전쟁에 대한 지지 등으로 인해 실각한 후에도 국회의원으로 활동하다가 1977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 1965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
    1965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는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용제로 치러졌으며, 기독교민주연합/기독교사회연합이 과반 의석 확보에 실패하여 자유민주당과 연립 정부를 구성했으나, 자유민주당의 탈퇴로 사회민주당과의 대연정으로 이어졌다.
  • 서독의 외교관 - 빌리 브란트
    빌리 브란트는 서독의 사회민주당 소속 정치인으로, 총리 재임 시절 동방정책을 통해 독일의 분단 극복에 기여하고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나, 기욤 사건으로 사퇴한 후에도 독일 재통일의 기반을 마련하고 사회복지 정책을 통해 서독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서독의 외교관 - 헬무트 콜
    헬무트 콜은 1982년부터 1998년까지 서독과 통일 독일의 연방총리를 역임하며 냉전 종식과 독일 통일을 이끌고 유럽 연합 통합에 기여했으나, 정치자금 스캔들, 건강 악화, 가족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던 독일의 정치인이다.
  • 바이에른의 군인 - 빌헬름 폰 레프 기사
    빌헬름 폰 레프 기사는 독일 군인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했으며,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북부집단군 사령관으로 소련 침공에 참여하여 발트 3국을 점령하고 레닌그라드 포위전을 지휘했으나 히틀러와의 갈등으로 해임되었고, 전후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곧 석방되어 군사적 능력과 전쟁 범죄 책임에 대한 논란이 있다.
  • 바이에른의 군인 - 루프레히트 폰 바이에른 왕세자
    루프레히트 폰 바이에른 왕세자는 바이에른 왕국 마지막 국왕의 장남이자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 사령관 겸 왕위 계승자였으며, 군국주의 반대, 나치 정권 저항, 왕정 복귀 희망, 자코바이트 계승자로서의 지위를 가졌으나 적극적인 행보는 보이지 않았다.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64년의 에르하르트
이름루트비히 빌헬름 에르하르트
원어 이름Ludwig Wilhelm Erhard
출생일1897년 2월 4일
출생지독일 제국 바이에른 왕국 퓌르트
사망일1977년 5월 5일
사망지서독
안장 장소굼트암테게른제
배우자루이제 슈스터(1923년–1975년)
자녀1
모교프랑크푸르트 대학교(박사)
서명
정치 경력
직책서독 연방총리
임기 시작1963년 10월 17일
임기 종료1966년 11월 30일
대통령하인리히 뤼프케
전임자콘라트 아데나워
후임자쿠르트 게오르크 키징거
직책1기독교민주연합 대표
임기 시작11966년 3월 23일
임기 종료11967년 5월 23일
분데스탁 지도자1라이너 바르첼
전임자1콘라트 아데나워
후임자1쿠르트 게오르크 키징거
직책2서독 부총리
총리2콘라트 아데나워
임기 시작21957년 10월 29일
임기 종료21963년 10월 15일
전임자2프란츠 블뤼허
후임자2에리히 멘데
직책3경제부 장관
총리3콘라트 아데나워
임기 시작31949년 9월 20일
임기 종료31963년 10월 15일
전임자3직책 신설
후임자3쿠르트 슈뮈커
정당기독교민주연합
국회의원 경력
직책4연방의회 의원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임기 시작41972년 12월 13일
임기 종료41977년 5월 5일
후임자4파울라 리데
전임자4다수 선거구
선거구4기민련 명부
직책5연방의회 의원 (울름)
임기 시작51949년 9월 7일
임기 종료51972년 12월 13일
전임자5선거구 신설
후임자5헤르베르트 베르너
군 복무
소속 국가독일 제국
군종제국 육군
복무 기간1916년–1919년
계급하사관
부대제22 왕립 바이에른 야전 포병 연대
참전 전투제1차 세계 대전
동부 전선
루마니아 전역
서부 전선
제5차 이프르 전투

2. 어린 시절과 교육

루트비히 에르하르트는 1897년 2월 4일 바이에른 왕국 퓌르트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가톨릭 신자였고, 어머니는 개신교 신자였으며, 그는 2명의 형제와 누이 로제와 함께 개신교 신자로 자랐다.[13] 에르하르트는 3세 때 소아마비를 앓아 오른발이 변형되었고, 평생 정형외과용 신발을 신어야 했다.[13]

1903년 6세의 나이로 퓌르트에서 초등학교에 입학하였고, 1907년 퓌르트의 왕립 바이에른 직업 고등학교에 입학하여 1913년 중등 학교 증명서를 받았다. 1913년부터 1916년까지 뉘른베르크에 있는 게오르크 아이젠바흐 직물 회사에서 상업 견습생으로 일했고, 그 후에는 아버지의 포목점에서 판매원으로 일하였다.[13]

3. 초기 경력

졸업 후 퓌르트로 이주한 에르하르트는 1925년 부친의 회사에서 경영 간부가 되었다. 이후 3년 동안 대부분 실업 상태로 지냈다. 1928년 부친이 퇴직하고, 같은 해 리거와 오펜하이머의 도움으로 빌헬름 루돌프 만과 데:Wilhelm Vershofen이 설립한 시장조사 기관인 ''독일 완제품 산업 경제 관측소(Institut für Wirtschaftsbeobachtung der deutschen Fertigware)''에서 파트타임 연구 조교가 되었다.[2][3] 이후 연구소 부소장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전후 평화를 위한 개념을 연구했지만, 나치가 '전면전'을 선포했기 때문에 공식적으로는 그러한 연구가 금지되었다. 1942년 직장을 잃었으나, 라익스그루페 인두스트리(Reichsgruppe Industrie)의 지시에 따라 해당 주제를 계속 연구했다. 1944년 ''전시 재정과 부채 통합(Kriegsfinanzierung und Schuldenkonsolidierung)''을 저술, 이 연구에서 독일이 이미 전쟁에서 패배했다고 가정했다. 나치즘 저항 운동의 중심 인물인 카를 프리드리히 괴르델러(Carl Friedrich Goerdeler)에게 자신의 생각을 보냈고, 괴르델러는 에르하르트를 동료들에게 추천했다. 에르하르트는 또한 라익스미니스테리움 휘어 샤프트(Reichsministerium für Wirtschaft) 차관 오토 올렌도르프(Otto Ohlendorf)와 자신의 개념에 대해 논의했다. 올렌도르프는 전쟁 후 경제의 관료적 국가 계획을 대체하기 위해 "능동적이고 용감한 기업가 정신(aktives und wagemutiges Unternehmertum)"을 주장했다.[13]

4. 전후 경제 개혁

전쟁 후 에르하르트는 경제 고문으로 활동했다. 1947년 미국영국이 관리하는 양국 점령 지구(비스존)에서 그는 독일 서부 점령 지역의 화폐 개혁을 준비하기 위한 전문가 위원회인 "돈과 신용을 위한 특별 사무소"를 이끌었다.[13] 이 위원회는 1947년 10월부터 논의를 시작하여, 다음 해 4월 경제 회복을 위한 단계를 설정하고 연합국이 채택한 화폐 개혁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는 홈부르크 계획을 발표했다.

1948년 3월 2일, 에르하르트는 자유민주당(FDP)의 추천을 받아 연합 경제 지역의 경제 관리국장으로 임명되어 서방 연합군 점령 지역의 경제 정책 책임자가 되었다.[13] 그는 독일 마르크 도입 직전 군정이 시행하던 가격 통제와 생산 통제를 폐지했는데, 이는 그의 권한을 넘어서는 일이었지만 성공을 거두었다.

4. 1. 통화 개혁과 가격 자유화

전쟁 후 에르하르트는 경제 고문이 되었다. 1947년 미국영국의 관리 아래 설립된 양국 점령 지구(비스존)에서 그는 독일 서부 점령 지역의 화폐 개혁을 준비한 전문 위원회인 "돈과 신용을 위한 특별 사무소"를 이끌었다.[13] 이 위원회는 1947년 10월 심의를 시작하였고, 이듬해 4월 경제 회복을 위한 단계를 세운 화폐 개혁에서 연합국에 의해 채택된 구성 요소들인 이른바 홈부르크 계획을 산출하였다.

1948년 4월 에르하르트는 양국 점령 지구 경제 위원회의 경제국장으로 선출되었다. 6월 20일 독일 마르크가 도입되었다. 에르하르트는 군사 행정부에 의해 제정된 가격 고정과 생산 통제를 폐지하였다.[13] 이는 그의 권한을 넘는 일이었으나, 그는 이 조치에 성공하였다.

4. 2. 사회적 시장경제

경제 자유주의에 확고한 신념을 가진 에르하르트는 1950년 몽펠레랭 학회에 가입하여, 서독 경제 재건을 위한 자신의 구상을 시험하기 위해 자유 경제와 정치 사상가들의 이 영향력 있는 기관을 활용하였다. 몽펠레랭 학회의 일부 회원들은 연합군 고등판무관의 일원이었고, 에르하르트는 그들에게 직접 자신의 주장을 할 수 있었다. 몽펠레랭 학회는 회원들에게 자신들의 구상이 실생활에서 시험받을 기회를 환영했기 때문에 에르하르트를 환영하였다. 에르하르트의 장관직 국무장관인 알프레트 뮐러-아르막은 1960년대 초까지 이론을 바탕으로 독일 경제를 이끌도록 도왔다.[5]

1950년대에 에르하르트의 장관직은 유럽과 영국-미국 당파 사이의 사회 안에서 분투에 연루되었고, 전자의 편을 들었다. 에르하르트는 시장 자체를 사회적인 것으로 보았고, 복지 법률 제정은 극소수만을 지지하였다. 그러나 에르하르트는 1957년 자유롭고 경쟁적인 경제를 창조하려는 자신의 노력에 일련의 결정적인 패배들을 겪어 반담합 법률 제정과 같은 주요 논점들을 타협해야 했다. 그 후 서독 경제는 이미 1880년대 비스마르크에 의해 놓여진 기초로부터 인습적인 복지 국가로 발전하였다. 알프레드 미에르제예프스키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견해는 독일이 사회 시장 경제를 가지고 있으며, 전후 독일 경제는 1948년 이후로 발전해 왔지만 그 경제 시스템의 기본적인 특징은 변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의 견해로는 사회 시장 경제는 1957년부터 쇠퇴하기 시작하여 1960년대 후반까지 완전히 사라졌다.[6]

에르하르트는 유럽 석탄 및 강철 공동체 모델을 따른 관료적 제도적 유럽 통합을 강력하게 비판했다.

에르하르트는 사회시장경제 개념을 공동으로 개발한 인물 중 한 명이며, 특히 발터 오이켄이 그의 저서 『국민경제의 기초』(1938년)에서 제창한 오르도리베랄리즘의 지지자로 여겨진다. 오르도리베랄리즘의 핵심 주장은 자유주의적 법치국가를 건설함으로써 모든 경제 주체의 자유가 (상호 간에도) 보호되는 경제적 틀을 마련하려는 것이다. 이 학파는 특히 빌헬름 레프케와 연방 경제부 차관에 임명된 알프레트 뮐러-아르막이 전후 수십 년에 걸쳐 경제정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에르하르트는 1950년대 가장 인기 있는 정치인이었다. 그는 "경제 기적"의 주역으로 여겨지며,[16] 항상 시가를 든 모습이 그의 트레이드마크가 되었다.

CDU가 1953년과 1957년에 거둔 연방의회 선거 승리는 대부분 그의 공적이다. 그러나 그는 스스로 "기적 따위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경제 기적"이라는 표현을 거부하고, 독일의 고도경제성장은 시장경제주의적 정책의 성공 결과라는 입장을 취했다.

5. 경제 장관 시절 (1949~1963)

콘라트 아데나워 총리와 에르하르트 (1956년)


나치 시대 이후 첫 자유 선거에서 에르하르트는 바덴뷔르템베르크주 선거구에서 당선되었다. 그는 연방경제장관으로 임명되어 14년 동안 재직했으며, 1957년부터 1963년까지 독일 부총리를 겸임했다.[4]

경제 자유주의 신봉자인 에르하르트는 1950년 몽펠레랭 학회에 가입하여, 이 단체를 통해 서독 경제 재편에 대한 자신의 구상을 시험했다. 몽펠레랭 학회 회원 중 일부는 연합군 고등사령부 회원이었다. 1950년대 후반, 에르하르트는 학회 내 유럽과 영미 진영 간의 갈등에서 유럽 진영을 지지했다. 그는 시장 자체를 사회적인 것으로 보았고, 최소한의 복지 입법만을 지지했다. 그러나 1957년 자유롭고 경쟁적인 경제를 만들려는 시도는 연이은 좌절을 겪었고, 카르텔 반대 법안과 같은 핵심 문제에서 타협해야 했다. 그 후 서독 경제는 비스마르크가 1880년대에 이미 기초를 놓은 전통적인 복지 국가로 발전했다. 알프레드 미에르제예프스키는 1948년 이래 독일이 사회 시장 경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정설이지만, 사회 시장 경제는 1957년부터 쇠퇴하기 시작하여 1960년대 후반에는 완전히 사라졌다고 주장했다.[6]

1948년 7월 남서부 독일 사업가 단체는 에르하르트의 제한적 신용 정책을 비판했다. 에르하르트는 소비를 통해 화폐 안정성을 확보하고 경제를 활성화하고자 했으나, 기업들은 투자 자본 부족이 경제 회복을 늦출 것을 우려했다. 에르하르트는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모델에 따른 유럽의 관료 제도 완성에 대해 비판적이었다.[5]

영국군과 미군 점령 지구의 경제국장이었던 에르하르트는 1948년 많은 가격 통제를 철폐하기로 결정했는데, 이는 사회민주당의 반대와 연합국의 권한에 대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졌다. 1950년대 독일 경제가 급속한 성장과 번영을 이루면서 에르하르트의 재정 및 경제 정책은 널리 인기를 얻었으며, 전쟁의 파괴를 극복하고 수백만 명의 동부에서 온 난민들을 성공적으로 통합했다.

6. 총리 시절 (1963~1966)

1963년 아데나워 총리가 사임한 후, 에르하르트는 10월 16일 연방 하원에서 297 대 180의 투표로 총리로 선출되었다. 1965년 재선에 성공하였다. 1966년부터 1967년까지 그는 기독교 민주연합의 의장직을 맡았는데, 사실 그는 정식 당원이 아니었다. 아데나워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에르하르트는 정식으로 회원 신청을 한 적이 없었다. 그가 당원이 아니라는 사실은 2007년 그의 측근이었던 호르스트 뷘셰에 의하여 밝혀지기 전까지는 소수의 당 지도자들만 알고 있었다.[7]

1964년 캐나다 오타와에서의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1965년 샤를 드 골과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1963년 12월 린든 B. 존슨과 에르하르트


1967년 루트비히 에르하르트와 이스라엘 총리 레비 에슈콜


에르하르트 총리는 재임 기간 동안 국내적으로 사회 보장 분야에서 진보적인 개혁을 추진하여, 1965년 주택 혜택을 도입하였다.[8]

6. 1. 국내 정책

1963년 아데나워 총리의 사임 후, 에르하르트는 10월 16일 하원에서 297 대 180의 투표로 연방총리로 선출되었다. 1965년 그는 재선되었다. 1966년부터 1967년까지 그는 아데나워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정식으로 회원 신청을 한 적이 없었으며, 당원이 아니었음에도 사실상 기독교 민주연합의 의장직을 맡았다. 에르하르트가 주저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당 정책에 대한 그의 일반적인 회의주의 때문으로 보인다. 하지만 에르하르트는 당시 독일에서, 특히 기독교 민주연합의 대다수에게 장기적인 기독교 민주연합 당원이자 당 의장으로 여겨졌다. 그가 당원이 아니라는 사실은 소수의 당 지도자들만 알고 있었고, 2007년 에르하르트의 측근 호르스트 뷘셰가 침묵을 깨기 전까지 대중에게 알려지지 않았다.[7]

에르하르트 총리 재임 기간 동안 국내적으로 여러 진보적인 개혁이 이루어졌다. 사회 보장 분야에서는 1965년 주택 혜택이 도입되었다.[8]

6. 2. 외교 정책

에르하르트는 독일의 재통일을 위해 자금 지원을 하는 방안을 고려했다. 워싱턴 D. C.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에르하르트는 모스크바의 지도자 니키타 흐루쇼프에게 동독의 정치적 자유와 궁극적인 재통일을 대가로 대규모 경제 원조를 제공하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에르하르트는 서독이 소련에 250억달러의 "대부금"(상환을 기대하지 않음)을 제공하면 소련이 독일 재통일을 허용할 것이라고 믿었다.[9] 그러나 에르하르트는 구체적인 계획 없이 협상할 준비를 했다.[10] 당시 미국 국무장관 조지 와일드먼 볼은 에르하르트의 계획을 "엉성하고 비현실적"이라고 평가했다.[9] 흐루쇼프는 에르하르트에게 현실적인 ''타협 방안'' 제안을 하도록 격려했고, 총리의 방문 초청을 수락했다. 그러나 1964년 10월 흐루쇼프가 실각하면서 에르하르트의 독일 재통일 계획은 무산되었다.[10] 1964년 말 소련은 국제 자본 시장에서 대규모 대출을 받아 에르하르트의 자금 지원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9]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의 역할에 대한 지지는 에르하르트 연정에 치명적이었다. 에르하르트는 미국의 군사적 승리를 지지하며 워싱턴과 협력하고 파리와 협력을 줄였다. 에르하르트의 정책은 독일 통일에 대한 연합국의 노력을 복잡하게 만들었다. 에르하르트는 미국의 세계적 이익이 워싱턴 D.C.의 정책을 결정한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했고, 서독의 이익을 위해 미국과 프랑스 모두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려던 아데나워의 정책을 거부했다. 1966~1967년 경기 침체로 재정 적자에 직면한 에르하르트는 미국 대통령 린든 B. 존슨에게 한 양보 때문에 실각했다.

에르하르트의 몰락은 독일 통일에 더 넓은 접근과 적극적인 외교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1960년대 후반 빌리 브란트 총리는 할슈타인 독트린을 버리고 동방 정책을 채택하여 소련 및 동유럽과 관계 개선을 추구하며 동서 간 긴장 완화와 공존의 기반을 마련했다. 그러나 1980년대 헬무트 콜 총리는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와 협력하여 소련에 대한 강경 노선을 취하는 에르하르트의 접근 방식으로 돌아갔다.[11]

에르하르트 정부는 1965년 이스라엘과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6. 3. 사임

1966년 10월 26일 발터 셸(자유민주당) 경제 협동 개발 장관이 전날 발표된 예산에 항의하며 사임하였다. 자유민주당 소속의 다른 장관들도 그의 뒤를 따랐고, 연정은 붕괴되었다. 11월 30일 에르하르트는 사임하였다. 그의 후임은 쿠르트 게오르크 키징거였으며, 그는 독일 사회민주당대연정을 구성했다.[12]

7. 은퇴 이후와 죽음

1966년 10월 26일 경제 협동 개발 장관 발터 셸 (자유민주당)이 전날 발표된 예산에 항의하며 사임하였다. 자유민주당 소속 다른 장관들도 그의 뒤를 따랐고, 연정은 깨졌다. 11월 30일 에르하르트는 사임하였다. 그의 후임은 독일 사회민주당과 대연정을 형성한 쿠르트 게오르크 키징거였다.

에르하르트는 1977년 5월 5일 에서 심부전으로 사망할 때까지 서독 국회의 의원으로 남아 정치 활동을 계속하였다.[12] 그는 테게른제 근처 그문트에 안장되었다. 파더보른, 퓌르트, 뮌스터에 있는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전문 대학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루트비히 에르하르트의 묘

참조

[1] 웹사이트 The Social Market Economy http://www.bmwi.de/E[...] Federal Ministry for Economic Affairs and Energy, Federal Republic of Germany 2015-09-11
[2] 서적 Creating the Nazi marketplace: commerce and consumption in the Third Rei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3] 서적 Pleasure and power in Nazi Germany Palgrave Macmillan 2011
[4] 서적 Rebuilding Germany: The Creation of the Social Market Economy, 1945–1957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wentieth-Century Political Thou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12-04
[6] 간행물 1957: Ludwig Erhard's Annus Terribilis 2004
[7] 웹사이트 Ludwig Erhard war nie CDU-Mitglied http://www.stern.de/[...] 2007-04-25
[8] 서적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The End of an era
[9] 웹사이트 A 'Half-Baked' Deal Former German Chancellor Considered Buying East Germany http://www.spiegel.d[...] Spiegel 2011-10-05
[10] 간행물 Bargaining with the Bear: Chancellor Erhard's Bid to Buy German Reunification, 1963–64 2008-09-18
[11] 간행물 A Reappraisal of Germany's Vietnam Policy, 1963–1966: Ludwig Erhard's Response to America's War in Vietnam 2004
[12] 뉴스 Ex-Chancellor Erhard Dies; Led the Postwar Revival https://www.nytimes.[...] 2024-11-18
[13] 서적 (추가 정보 필요) 板橋,妹尾
[14] 서적 (추가 정보 필요) 板橋,妹尾
[15] 서적 (추가 정보 필요) 板橋,妹尾
[16] 서적 (추가 정보 필요) 鹿島(1965年)
[17] 서적 (추가 정보 필요) 板橋,妹尾
[18] 서적 (추가 정보 필요) 鹿島(1967年)
[19] 서적 (추가 정보 필요) ゲッパート
[20] 서적 (추가 정보 필요) 鹿島(1965年)
[21] 서적 (추가 정보 필요) 板橋,妹尾
[22] 서적 (추가 정보 필요) 板橋,妹尾
[23] 서적 (추가 정보 필요) 板橋,妹尾
[24] 서적 (추가 정보 필요) 板橋,妹尾
[25] 서적 (추가 정보 필요) 板橋,妹尾
[26] 서적 (추가 정보 필요) 板橋,妹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